> 공지 및 자료실 >
학부공지
제목 | [학사] 한국어문학과 졸업시험 관련 안내 ![]() |
---|---|
작성자 | 김찬호 |
한국어문학과는 졸업 시험 형식으로 졸업 논문 이수를 대체합니다.
국어국문트랙과 국어국문학과는 네 과목 모두 70점 이상이어야 통과입니다.
국제한국어교육트랙과 국제한국어교육과는 세 영역 시험의 평균이 7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총점 210점 이상이면 통과)
<학과별 세부 과목 안내>
1. 한국어문학과 국어국문 트랙(2016년도 이후 입학자+기존학과에서 소속변경한 학생 중 국문 트랙 45학점 이수/예정 학생)
시험 영역 : 한국어문장과문법/한국고전문학사/소설스토리텔링과창의설계/국어의소리와음운
2. 한국어문학과 국제한국어교육 트랙(2016년도 이후 입학자+기존학과에서 소속변경한 학생 중 교육 트랙 45학점 이수/예정 학생)
시험 영역 : 한국어학 영역, 한국문화및문학영역, 한국어교육영역
3. 국어국문학과(~2015년도까지 입학생 중 소속 미변동 학생)
시험 영역 : 한국어문장과문법/한국고전문학사/소설스토리텔링과창의설계/국어의소리와음운
4. 국제한국어교육과(~2015년도까지 입학생 중 소속 미변동 학생)
시험 영역 : 한국어학 영역, 한국문화및문학영역, 한국어교육영역
5. 기타 창의 융복합전공
융복합전공은 본전공이 한국어문학과, 국어국문학과, 국제한국어교육과인 경우에는 졸업시험을 본전공으로 치시면 되고, 타과인 경우에만 응시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가정복지학과에서 스토리텔링창작전공을 복수전공 하는 경우에는, 스토리텔링창작전공 졸업시험을 통과해야 졸업입니다. 부전공은 응시 안해도 됩니다.)
* 스토리텔링창작 : 소설스토리텔링과창의설계, 한국고전소설연구
* 비즈니스한국어통번역 : 토픽 6급 / 미달 시 졸업시험(한국어의이해, 한국어능력시험특강1)
* 실무한국어교육 : 한국어의이해, 한국어능력시험특강1
참고: "영역"이라고 되어 있는 것은 해당 영역 내의 교과목 중 교수님께서 정하신 일부 교과목으로 문제 출제를 한다는 말입니다.
<시험 안내>
시험은 보통 3~4차에 걸쳐 치르나, 이는 해당 학기 학사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EX) 국어국문의 경우 1차에 모든 시험을 친 후, 한국어문장과문법 - 70점 / 한국고전문학사 - 40점 / 소설스토리텔링과창의설계 - 80점 / 국어의소리와음운 - 65점 을 받았다면,
2차에서는 한국고전문학사와 국어의소리와음운 시험만 보면 됩니다.
국제한국어교육은 총점 합 210만 넘으면 되니, 1차 시험을 보고 자신이 치고 싶은 과목 시험만 다시 응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문화및문학영역(이희정 교수님)은 재시험이 불가능하니, 신중하게 치르시기를 바랍니다.
시험을 5차, 6차까지 칠 수 없는 이유는 대학에서 정한 졸업 논문 시행 기간(보통 한 달) 내에 시험 결과보고서 제출 및 입력을 마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최종 차시 내에 시험에 합격하지 못한 학생은 "졸업"이 아닌 "수료"를 하게 되며, 별도의 학위증 및 트랙 이수증이 나가지 않습니다.
이러한 경우 다음 학기 졸업 시험 기간에 맞춰 다시 학교에 와 시험을 칠 수 있습니다. 이때 합격할 경우 학위증을 받을 수 있으며, "졸업"으로 변경됩니다.
한국어문학과 중 트랙 이수를 희망하지 않고, "한국어문학과"만으로의 졸업을 원하는 학생은 두 트랙 중 원하는 트랙 하나만 합격하시면 됩니다.
(트랙 미이수로 졸업하시면, 학위증에 "한국어문학과"로 표기되어 나가며, 별도의 트랙 이수증이 없습니다.)
(트랙으로 졸업하시면, 학위증에 "한국어문학과"로, 트랙이수증에는 "한국어문학과-국제한국어교육트랙"(예시) 으로 표기됩니다.)
기타 문의사항은 학과 사무실(053-850-6010)로 전화바랍니다.
|
|
첨부파일 |